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공생 리더십의 논리 체계 공생 리더십은 다음과 같은 논리 체계로 되어 있다. 공생 리더십(공생 가드닝)의 논리 체계>    |    |____[ 변화(문제) 인식 ]    |               |    |               |__(핵심) 상황 객관화    |                          |    |                          |__도구 : 공생 모델링    |____[ 한 몸 대응 ]                    |                    |__(핵심) 공생 활성화                               |                               |__도구 : 공생 코칭  공생 리더십이란 무엇인가먼저 '공생 리더십'의 정의부터 확인해보자.. 2025. 3. 12.
투자에서 찾아보는 '자생-공생의 원리' ​'자생-공생의 원리'는 투자에서도 적용된다.아래의 그래프를 살펴보자.  가로축이 시간이고, 세로축이 가치(또는 가격)을 나타낸다고 했을 때, 시간이 갈수록 가치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량주나 좋은 입지의 부동산과 같이 좋은 투자대상이 보이는 전형적인 상승곡선이다.시간이 갈수록 우상향하는 가치라고 해서 한번도 떨어지지 않고 오르기만 하는 것은 없다. 글로벌 경기가 불황일 때, 코로나와 같은 대규모 질병이나 전쟁과 같은 사건이 발생했을 때, 투자대상과 관련하여 변수가 생겼을 때 등 다양한 이유로 그래프는 등락을 거듭한다. 인간이 호흡을 하는 것처럼 작은 등락이 반복되면서 성장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따라서 끝없이 우상향한다는 조건만 만족한다면, 적당히 하락했을 때 매입했다가, 충분히 .. 2025. 3. 12.
트럼프의 미국은 어떻게 될 것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3월 4일 부로 중국에 10% 추가 관세,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사를 기습적으로 밝혔다. 이에 대해 대상국을 위협하고 신속한 대응을 이끌어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상대방에 충격을 주고 실속을 챙기기 위한 구두개입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이래도 되나?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을 관세 전쟁의 벼랑 끝으로 몰아넣고 있다. 강력한 동맹이었던 캐나다와 바로 이웃인 멕시코를 대하는 태도는 매우 충격적이다. 중국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예외가 아니다. 오로지 미국의 이익만을 우선 가치로 놓고 동맹 관계를 계산하는 그의 모습을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이렇게까지 노골적일 줄은 몰랐다.트럼프 정부의 충격적인 행보는 관세만이 아니다. .. 2025. 3. 6.
<이태원클라스> 복수는 성장 에너지다 ​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철학자 니체의 명언이다. 인간은 시련을 극복하면서 성장한다. 시련은 변화다. 변화는 적응하면 성장이라는 선물을 주고, 적응하지 못하면 정체되는 벌칙을 준다. 만약 끝내 적응하지 못한다면 살고 있는 세계에서 퇴출될 지도 모른다. 그것은 인간에겐 죽음이고, 조직에겐 해체를 의미한다.인간을 포함한 생명이 날마다 성장하는 것은 알게 모르게 끊임없이 밀려드는 변화에 적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화는 나를 죽이기도 하지만 나를 살리기도 하는 원동력이다. 변화가 없으면 성장할 수 없다. 내가 극복할 수 있는 변화는 그래서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간단하지만 변화의 본질을 간파한 니체의 명언을 기억하면서..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 한다.는 .. 2025. 3. 6.
이번 달은 움직이지 않기로 했다 투자 판단이 쉽지 않다. 인플레이션이 오고 있음은 이미 누구나 다 알고 있다. 그 인플레이션이 진짜로 위험한 것임은 이미 밝힌 적이 있다. (여기글 참조) 하지만 주가를 포함한 각종 지표는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금리 인상 우려로 주가가 폭락했다가도, 다음날이면 기관투자자들의 매수('21. 5. 18.)로 바로 회복한다. 금리도 시중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라가는데, 코픽스는 오히려 조금 내렸다('21. 5. 17.). 나는 폭락론자는 아니다. 하지만 나 역시 적은 액수지만 내 자금을 운용하는 입장에서 분명한 포지션을 결정해야 한다. 자신만의 입장없이 샀다, 팔았다는 하는 것만큼 위험한 일은 없다. 그래서 요즘 같은 분위기에서는 고민이 크다. 나는 매월 1회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021. 5. 18.
헷갈릴 땐 쉬어가라 골이 깊으면 산도 높다 코로나19로 주춤했던 우리경제가 올해 들어 빠르게 V자 회복되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는 2021년 4월 28일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3.3%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 IMF는 이미 3.6%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5일 유엔산업개발기구가 발표했듯 제조업 경쟁력 세계 3위라는 대한민국의 저력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초부터 이어지는 해외수출 증가도 계속 이어져, 5월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1%라는 사상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런 성과는 주가상승으로 이어져, 4. 20. KOSPI가 사상최고인 3220을 달성했고, 5. 11. 다시 사상최고인 3249.3에 이르렀다. 우리 주가가 한달도 되지 않은 기간에 사상최고치를 두 번이나 달성한 셈이.. 2021. 5. 12.